전시정보

전시유물

세종이야기·충무공이야기  전시관에서 소장중인 전시유물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 편종 01 편종 편종은 쇠붙이로 된 유율 타악기로 고려 예종 11년 (1116)에 송나라로부터 들여와 궁중제례악에 사용하였다. 세종 11년(1429)에는 주종소를 설치하여 국내에서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열여섯 개의 종을 두 단으로 된 나무틀에 매달아 놓고 연주한다. 종의 두께가 두꺼우면 소리가 높고, 얇으면 소리가 낮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편경 02 편경 편경은 돌로 된 유율 타악기로 고려 예종 11년(1116) 송나라로부터 처음 들여와 궁중제례악에 사용하였다. 그 뒤 조선 세종 7년(1425) 경기도 남양에서 경돌이 발견되어 국내에서 제작되기 시작했다. ‘ㄱ’자 모양의 돌 열여섯 개를 두 단으로 된 나무틀에 매달아 놓고 연주한다. 경의 두께가 두꺼우면 소리가 높고, 얇으면 소리가 낮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신기전 03 신기전 신기전은 1448년(세종 30)에 만들어진 조선시대의 로켓추진 화살로서 세계 최초로 발명된 다연발 로켓병기이다. 『병기도설』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1592년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과 함께 비장의 무기로 활용되었다고 한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앙부일구 04 앙부일구 앙부일구는 ‘가마솥을 떠받치고 있는모양의해시계’ 라는 뜻으로, 시계 바닥이 오목하다고 하여 오목해시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시계는 해가 이동함에 따라 시계 바늘의 그림자 위치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오목한 시계판에는 계절을 나타내는 가로선과 시간을 나타내는 세로선이 표시되어 있어 시간과 함께 계절도 알 수 있어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 05 천상열차분야지도 이 천문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조시대의 석각본을 기준으로 제작한 것이다. 둥근 하늘에는 총 1400여개의 별과 282개의 별자리가 표현되어 있다. 이런 세세하고 뛰어난 천문도가 제작될 수 있었던 것은 옛 사람들이 태양과 달, 별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농경사회였던 당시에는 하늘을 보고 날씨를 추측해야 했고, 이와 더불어 태양과 달, 별의 움직임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기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컸던 것이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어좌, 일월오봉병 06 어좌, 일월오봉병 어좌는 임금님이 앉으시던 의자이다. 어좌 뒤에는 항상 일월오봉병을 배치했다. 일월오봉병은 해와 달, 다섯 개의 봉우리, 물결, 소나무 등이 병풍에 그려진 그림으로 일월오악도 (日月五嶽圖), 일월곤륜도(日月崑崙圖) 라고도 부른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축 07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타악기이다. 네모난 몸체의 윗부분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굵은 망치를 넣고 두드려 연주한다. 이 망치의 모양과 치는 법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몸체의 사면에는 산수화가 그려져 있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절고 08 절고 국악기중 혁부(革部)에 속하는 타악기이다. 북의 일종으로 상자 모양의 방대 위에 올려 놓고 나무방망이로 치며 연주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절고는 다만 음악의 시작과 그칠때만 쓸 뿐 아니라 연주할때 중간에 치는 것이 헌가의 진고(晋鼓)와 같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부 09 부는 흙으로 구워 만든 타악기이다. 아홉 조각으로 쪼개진 대나무 채로 변두리를 치는 식으로 연주한다. 느린 아악곡의 매박 중간에 장단을 짚어주는 리듬 악기 구실을 한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어 10 호랑이 등줄기에 27개의 톱니가 있는 악기로 음악의 마침을 알리는 타악기이다. 호랑이 목덜미를 채 끝으로 세번 친 다음, 등줄기의 톱니를 세번 내리긁어 연주한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박 11 박은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악기이다. 예전에는 음악의 시작과 끝맺음을 지휘할 때 사용하거나 매 장단에 한번씩 쳐서 마루를 구분할 때 사용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음악을 시작할 때 한번 치고 끝날 대는 세 번을 친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난중일기 01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7년 동안 진중(陣中)에서 쓴 일기이다. 난중일기라는 명칭은 이순신 장군이 직접 붙인 것이 아니고, 정조 때에 이순신 관련 기록들을 모아 이충무공전서를 편찬하면서 편찬가들에 의해 붙여진 것이다. 개인의 일기가 국보로 지정된 것이 이것이 유일하다. 소장처 : 현충사(국보 76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무과급제교지 02 무과급제교지 이순신 장군이 1576년 3월 무과시험에 합격했음을 증명하는 공식 문서로, 일종의 합격증이라고 할 수 있다. 소장처 : 현충사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초요기 03 초요기 전쟁터에서 행군할때 대장이 장수들을 부르고 지휘하던 군기이다. 북두칠성이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북두칠성은 예부터 우주를 다스리는 별로 우리 민족이 숭상해온 별자리 중 하나이다. 북두칠성 중 7번째 별은 하늘의 법을 집행하는 ‘요광성 (瑤光星)’ 인데, 어떠한 적군도 격파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좌독기 04 좌독기 이 군기는 행진할 때에는 주장(主將)의 뒤에 세우고, 멈출 때에는 장대(將臺) 앞 왼편에 세우던 깃발이다. 검은 바탕의 사각기로 가운데에 양의(兩儀)와 사상(四象)을 나타낸 태극(太極)을 중심으로 낙서(洛書)와 후천팔괘(後天八卦)가 주위에 그려져 있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장검 05 장검 이 장검은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에 있을 때 제작한 것으로 항상 벽에 걸어 두고 보면서 정신을 가다듬던 칼이다. 한 칼에는 '三尺誓天 山河動色 (석자 되는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과 물이 떨고)', 다른 한 칼에는 '一揮掃蕩 血染山河 (한번 휘둘러 쓸어 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인다)' 라고 새겨져 있다. 칼자루 속 슴베에는 '甲午四月日造太貴連李茂生(갑오년 4월에 태귀련과 이무생이 만들었다)'라는 명문이 있어 1594년 4월에 태귀련과 이무생 등이 만든 칼임을 알 수 있다. 소장처 : 현충사 (보물 326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독전기 06 독전기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이 깃발은 전투를 독려하기 위해 지휘관이 사용하던 것으로 중앙에 '무릇 군사로서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자는 목을 벤다.(凡軍臨敵不用命者處斬)'고 쓰여 있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홍소령기 07 홍소령기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이 깃발은 문관에게 명령을 전달할 때 전령이 지참하던 것이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남소령기 08 남소령기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이 깃발은 무관에게 명령을 전달할 때 전령이 지참하던 것이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곡나발 09 곡나발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이 굽은 나발은 전장에서 갖가지 신호용으로 사용하였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도독인 10 도독인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당시 수군 도독이 사용하던 관방인(關防印)으로 재질은 구리이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도독인함 11 도독인함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수군 도독이 사용하던 인장을 보관하던 함이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귀도 12 귀도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칼 자루에는 용의 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귀신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칼집은 용의 비늘을 표현하였다. 이 칼은 액귀를 물리치기 위한 호신용으로 사용하였고, 손잡이가 귀신 모양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참도 13 참도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무거운 죄를 지은 사람들의 목을 칠 때 사용하던 칼이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호두령패 14 호두령패 중국 명나라의 황제가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8종류의 물품(八賜品) 중 하나이다. 팔각형 모양의 나무 한쪽 면에는 영(令)이라 새겨져 있고 다른 한쪽 면에는 대장(大將)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 영패는 명령을 전달할 때 전령이 어깨에 메거나 죄인을 잡아 올때 사용했던 것이다. 소장처 : 충렬사(보물 440호)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
  • 거북선 15 거북선 거북선은 조선시대 주력함인 판옥선을 기반으로 제작한 돌격선으로, 임진왜란 당시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거북선은 관람객의 승선 체험을 위해 모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내부 구조와 시설은 해군사관학교의 거북선 모형을 기준으로 하였다. 규모는 실물을 55% 크기로 축소한 것이다." 닫기 리스트로 돌아가기 설명 열기